도시가스 요금, 어떻게 하면 아낄 수 있을까요?
요즘 물가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요. 특히 겨울철 도시가스 요금은 큰 부담이 됩니다. 하지만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를 활용하면 이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습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은 도시가스 절약 실천 가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신청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한데요. 오늘은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과 꼭 알아야 할 팁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도시가스 요금 고지서, 잘 살펴보셨나요?
매달 받는 고지서 한 번쯤은 꼼꼼히 들여다보셨을 겁니다. 그런데 정작 고객번호나 검침일, 납부계좌 등 주요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셨다면? 고지서에 적힌 내용을 하나하나 짚어볼 시간이 되었습니다.
- 우선 고객번호를 확인해 주세요. 이 번호는 캐시백 신청 시 필수입니다.
- 검침일을 보면 이번 달 사용량을 알 수 있겠죠.
- 그리고 납부계좌가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.
- 마지막으로 세금계산서도 꼭 체크해야 합니다.
캐시백은 이렇게 신청하세요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홈페이지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. 회원가입 시 자동으로 캐시백 신청이 완료되니 별도 절차는 없습니다. 신청 대상은 도시가스 사용 가구라면 누구나 가능합니다. 연중 상시 신청이 가능하지만, 동절기(12~3월) 사용량이 중요하다는 점 명심하세요.
절감량 | 캐시백 금액(평균) |
---|---|
3% 이상 | 약 9만원 |
위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, 사용량을 3% 이상 절감하면 평균 약 9만원의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신청 후에는 2~3개월 이내에 지급될 예정입니다.
고객번호는 어디서 찾나요?
캐시백 신청 시 고객번호가 필요하다고 했죠. 이 번호는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가장 쉬운 방법은 고지서를 보는 것입니다. 고지서에 고객번호가 기재되어 있습니다.
- 지역 도시가스 회사 앱에서도 고객번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- 마지막으로 카카오톡 채널에 문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절약 꿀팁은 여기에!
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먼저 실내 온도를 18~20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. 또한 실내 습도를 40~60%로 관리하면 난방 효율이 좋아집니다. 그리고 온수 온도를 40도 이하로 설정하면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. 창문 틈새를 꼭 막고 단열 보강도 하면 더욱 좋습니다.
문의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
캐시백 신청, 고객번호 확인, 요금 납부 등 도시가스 관련 문의가 있다면 고객센터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. 전화번호는 02-6022-0905이며, 평일 10시부터 17시까지 운영됩니다.